GC녹십자, AI로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국내 첫 환자 맞춤형 모델 개발

하수은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7 15:20:40
  • -
  • +
  • 인쇄
서울대 약대·한국혈우재단과 공동 연구…혈우병 환자 데이터 기반 정밀 예측
최봉규 센터장 "AI 머신러닝으로 환자 중심 정밀의료 실현할 것"
▲ (사진=GC녹십자 제공)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GC녹십자가 혈우병 환자의 관절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모델 개발에 나섰다. GC녹십자는 6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한국혈우재단과 함께 ‘혈우병 환자의 관절병증 예측 모델’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4월 GC녹십자가 제안하고 두 기관이 합류하면서 본격화됐다. 국내 기업이 혈우병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관절병증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혈우병 환자는 혈액응고인자가 부족해 작은 충격에도 관절 내 출혈이 잦다. 이러한 출혈이 반복되면 만성 관절 손상으로 이어지며 골다공증, 골극 증식, 섬유성 구축 등으로 운동성이 심각하게 제한된다. 이에 세계혈우연맹(WFH)과 유럽 혈우병 치료 표준화 위원회(EHTSB)에서는 관절 건강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혈우병 환자의 관절 출혈은 예방 요법을 통해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3세 이전에 시작할 경우 정상적인 관절 기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3세 미만 소아 환자 대상으로 한 국제 연구[1]의 MRI 검사 결과 예방 요법군의 관절병증 발생률은 7%였으나, 필요시 치료군(On-demand)은 45%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과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2]에서도 예방 요법군이 △연간 출혈 빈도 △피터슨 스코어(Pettersson Score) △삶의 질 지표에서 개선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중증 혈우병 환자의 약 70%가 관절병증을 겪고 있음에도 예방 요법 시행률이 충분치 못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환자 맞춤형 예측 모델과 체계적인 조기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GC녹십자는 약 20년간 축적된 국내 혈우병 환자들의 실사용 빅데이터(Real-World Big Data)에 AI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관절 손상 예측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모델은 ‘그린모노’, ‘그린진에프’ 등 혈우병 치료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의 실제 데이터를 반영해 의료진이 환자별 최적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예정이다. 회사 측은 내년까지 모델 개발을 완료하고 같은 해 하반기에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투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봉규 GC녹십자 AID(AI&Data Sciecne) 센터장은 “왑스-헤모(WAPPS-HEMO)에 이어 국내 혈우병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플랫폼을 지속 확장하고 있다”며 “AI 머신러닝을 활용한 정밀 의료를 통해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C녹십자는 2022년부터 혈우병 환자용 개인 맞춤형 소프트웨어 ‘왑스-헤모’를 통해 환자의 개별 약동학적 프로파일에 따른 최적의 투여 용량 및 간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GC녹십자-넥스아이, 치료 후 재발한 암 치료 면역항암제 혁신 신약 공동개발2024.11.19
GC녹십자-동아ST,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 치료제 공동연구 협약 체결2024.12.09
GC녹십자, 임직원 대상 공정거래 아카데미 개최…윤리경영 강화 나서2024.12.13
GC녹십자, 최영일 Discovery&Explorer Unit장 영입...신약 연구개발 매진2025.01.03
GC녹십자, 소염진통제 '탁센 레이디' 대용량 30캡슐 출시2025.01.10
한미약품-GC녹십자, 희귀질환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IND 승인2025.01.15
GC녹십자, 희귀질환 '리소좀 축적 질환' 치료제 개발 동향 공유2025.02.11
GC녹십자, 세계 최초 단백질 기반 탄저백신 국내 허가 획득…국산 신약 39호 등극2025.04.09
GC녹십자, 미국 학회서 면역결핍 질환 치료 '알리글로' 기술력 입증2025.05.08
GC녹십자·한미약품, 신약 파브리병 치료제 글로벌 임상 분격 착수2025.05.15
GC녹십자, 2025~2026 인플루엔자 백신 입찰 1위…국가예방접종 안정 공급 지속2025.05.27
GC녹십자, 혈우병 전문 심포지엄 개최…통합 치료 전략 모색2025.06.20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베트남 품목 허가 획득…동남아 시장 공략 본격화2025.07.16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2도즈 임상 3상 태국 IND 신청2025.08.27
GC녹십자, 헌터증후군 뇌실투여 치료제 ‘헌터라제ICV’ 국내 허가 신청2025.08.29
GC녹십자, 국내 첫 WHO GMP 실사 ‘서면 심사’로 대체 승인2025.09.01
GC녹십자, 메가존클라우드와 손잡고 AI 품질문서 작성 혁신 추진2025.09.03
GC녹십자, 자체 개발 LNP 플랫폼 기반 희귀질환 비임상 성과…국제 학술지 등재2025.09.04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개발 성과…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획득2025.09.05
GC녹십자, 독감백신 ‘지씨플루’ 누적 생산 4억도즈 돌파…글로벌 4억명 접종 규모2025.09.18
GC녹십자,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속도… GC4006A IND 제출2025.09.22
GC녹십자, KSBB-AFOB 2025서 ‘난발현 단백질 세포주 개발’ 연구 발표2025.09.26
GC녹십자, 창립 58주년 기념식 경기도 용인 본사서 개최2025.10.02
GC녹십자, 배리셀라주 2회 접종 임상 3상 태국 FDA 신속 승인…글로벌 표준 확보 청신호2025.10.17
GC녹십자, AI로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국내 첫 환자 맞춤형 모델 개발2025.11.07
GC녹십자, 창사 이래 첫 분기 매출 6000억 돌파..."알리글로 효과 톡톡"2025.11.03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