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해공∙우주 포괄하는 총 10개 존 마련… 모든 무기체계에 AI 기술 적용
![]() |
▲ 20~24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한화 부스 조감도(이미지=한화) |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한화 방산 3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는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한화 3사는 역대 최대 규모인 1960㎡ 통합 전시관을 마련, 대문자 A 모양의 구조 속에 10개 존으로 구성된 전시 공간에서 AI 기술이 접목된 육해공·우주 무기체계를 공개한다.
각 존에서는 한화의 차세대 전략 무기들이 AI 기술과 결합해 전시된다. PGM존에서는 ‘배회형 정밀유도무기(L-PGW)’가 처음 공개된다. 천무 80km급 로켓 몸체에 전방부 자폭 드론이 장착돼 발사 후 비행하면서 AI 기반으로 표적을 탐지하고 위성 데이터 링크로 정보를 전송, 타격 시 드론이 분리되어 목표물을 정확히 공격한다.
MUM-T(유무인복합) 존에서는 한국형 궤도형 무인지상차량(UGV) ‘테미스-K’를 비롯해 소형 UGV 라인업이 전시된다. 테미스-K는 유럽 밀렘로보틱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를 적용, 한국형 환경에 최적화됐다. K9솔루션 존에서는 K9 자주포가 K9A2를 거쳐 완전 무인화되는 K9A3로 발전하는 로드맵을 제시하며, AI 기술을 통해 1대 사격 지휘 장갑차가 최대 3문의 포를 자율 운용할 수 있다.
한화오션은 해양 존에서 AI 기반 차세대 전략 수상함과 스마트 배틀십을 공개한다. 한화시스템이 통합한 전투체계(CMS), 기관제어체계(ECS), 함교체계(IBS)는 AI 자동 표적 인식과 교전 관리 기능으로 최적의 임무 수행을 지원한다.
또한 한화시스템은 스페이스 존에서 누리호 4차 발사와 0.15m급 초고해상도(UHR) SAR 위성을 전시, AI 영상 분석 기술을 결합해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한다. 커뮤니케이션존에서는 차세대 전술통신과 C2(Command & Control) 기술을 통해 미래 지휘통제 체계를 선보인다.
한화는 이번 전시에서 공개한 첨단 무기체계를 통합하는 ‘국방 소버린 AI’ 기술도 공개, 국내 IT기업 및 중소·중견 기업과 협력해 한국형 AI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탐지, 지휘통제, 타격 등 전 과정을 연결한 첨단 무기체계를 구축, 자주국방 역량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전략이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급변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최첨단 AI 기술로 자주국방에 기여하고, 협력사들과 경쟁력 있는 국내 방산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